안녕하세요. 게으른도시농부입니다.
오늘의 세법에서 가장 기초인 조세의 정의와 취득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조세의 정의
국가 또는 지방 공공단체가 국민으로부터 걷어 들이는 세금으로 국세와 지방세가 있습니다.
국세는 국가가 부과하는 세금이고 지방세는 지방 자치 단체가 주민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 조세의 분류
크게 취득, 보유, 처분 단계로 구분해서 징수되는 세목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분류 | 취득 | 보유 | 처분 |
국세 | 인지세, 상속세, 증여세 | 종합부동산세(농어촌특별세) | 양도소득세 |
지방세 | 취득세+부가세(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 등록면허세+부가세(지방교육세) |
재산세+부가세(지방교육세, 지역자원시설세) | 지방소득세 |
여기서 체크해야 할 부분은 부가세인데 종합부동산세는 농어촌특별세, 취득세는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 등록면허세는 지방교육세, 재산세는 지방교육세와 지역자원시설세가 해당됩니다.
■ 징수방법
물납과 분할납부가 가능한 세목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세목 | 물납요건 | 분할납부 요건 |
취득세, 등록면허세 특정부동산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
X | X |
종합부동산세 | X | 250만원 초과 |
양도소득세 | X | 1천만원 초과 |
재산세(도시지역분 포함) | 1천만원 초과 | 5백만원 초과 |
■ 납세의무 성립 시기
세목별 납세의무가 성립되는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목 | 성립시기 |
소득세 | 과세기간이 끝나는 때 |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 과세기준일 |
취득세 | 과세물건 취득하는 때 |
등록면허세 | 등기 또는 등록하는 떄 |
■ 제척기간과 소멸시효
납부 미사 유별 제척 기관 소멸시효도 한 번 체크해 두세요.
구분 | 일반조세 | 상속세, 증여세 |
부정행위 | 10년 | 15년 |
신고기한 미준수 | 7년 | 10년 |
기타 | 5년 | 10년 |
■ 조세의 우선순위
여러 가지 경우의 조세 징수 시에 다음과 같이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1. 납세 담보된 조세
2. 압류에 관계되는 조세
3. 교부 청구된 조세
■ 면세점 및 소액징수 면제
세목에 따라서 일정 기준 이하의 금액일 때는 징수를 면제해 주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취득세는 취득가액이 50만 원 이하이면 부과 X, 재산세는 세액이 2천 원 미만이면 X
자, 그럼 취득세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 취득세
지방세로써 부동산, 준부동산, 회원권을 취득 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다만 제외되는 항목들이 있는데 주식, 용익물권, 등기된 임차권, 특허권, 영업권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취득세는 크게 승계취득과 원시취득으로 분류하는데 승계는 다시 유상, 무상(상속, 증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취득세는 사실상 취득할 때 납세의무가 성립되며 차량, 항공기, 선박은 승계취득에 한하여 과세됩니다.
분류별 취득세율을 이해 쉽게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승계취득 | 유상 | 4%, 농지 3% | |
무상 | 상속 | 2.8%, 농지 2.3% | |
증여 | 3.5%, 비영리 2.8% | ||
원시취득 | 2.8% |
■ 납세의무자
1. 소유자 또는 양수인
2. 주체 구조부 취득자 이외의 자가 가설하더라도 취득자가 납세의무자
3. 과점주주가 아닌 주주 등이 최초로 과점주주가 된 경우, 최초로 과점주주가 된 날 납세의무를 가짐
4. 상속의 경우는 상속인 각자가 상속받는 과세물건에 대한 납세의무를 가짐
5. 주택조합이 당해 조합원용으로 취득하는 조합주택용 부동산은 그 조합원이 취득한 것으로 봄
지금까지 조세의 개념과 취득세에 대해서 간략하게 공부해 보았습니다. 세법은 타과목에 비해 법개정으로 인한 내용 변경이 잦은 과목이니 이점 주의하셔서 공부학시기 바랍니다.
'공인중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의 특성 (0) | 2021.10.10 |
---|---|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지목 종류 (0) | 2021.10.10 |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주택의 분류 (0) | 2021.10.10 |
[공인중개사, 공법]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0) | 2021.10.10 |
공인중개사 시험 원서 접수 (0) | 2021.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