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테리어 솔루션] 국내 홈 리모델링 시장현황

by 게으른도시농부 2022. 2. 11.

2년 전 코로나를 시점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 지다보니 국내 홈 리모델링 시장규모는 급속하게 성장하였습니다.

2005년 10조 -> 2020년 40조로 4배 성장

코로나 이외에도 1인 가구증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같은 SNS를 통해서 독특한 인테리어 소품이나 시공사진을 공유하면서 나도 한 번 해볼까하는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수년 내 급등한 집값으로 인해 옮겨타기를 포기하고 거주하는 집을 리모델링하기를 결정하면서 홈 리모델링 수요는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과거 인테리어라고 해봤자 동네 지물포를 통해서 도배, 장판 바꾸는 것이 전부이었지만 현재 장판은 마루로 벽지는 템바보드 같은 신소재 내장재로 대체되었습니다.

이와 비례해서 평당 인테리어 가격도 200만원 선을 육박하기에 웬만한 외제차 한 대값을 지불하면서 집안을 바꿔야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가격이 수천만원에 이르고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분야이다보니 피해사례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과다견적, 부실시공, 공사지연, 시공자 잠적, 계약과 다른 시공 등 다양한 형태의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피해사례가 언론을 통해 자주 공개되다 보니 소비자도 더 이상 무조건 싼 견적만 찾지 않고 비용이 더 들더라도 믿을 수 있는 브랜드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비 브랜드 시장 -> 브랜드 시장으로 변화

부엌은 한샘,
창호, 벽지는 LG,
필름은 현대,
가구는 리바트
위와 같이 각 시장 별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회사들은 다르지만 토탈 홈리모델리 시장은 한샘과 LX지인이 이끌고 있습니다.
아직은 한샘이 규모나 인지도면에서 LX지인을 크게 앞서고 있지만 한샘은 사모펀드사에 매각된 상태고 LX지인은 지속적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어서 미래는 또 어떨지 궁금합니다.

최근 고객들의 니즈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부엌, 욕실 같은 단품시공에서 집 전체를 한달 가량 뜯어 고치는 전체시공으로 말입니다. 말 그대로 토탈 인테리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테리어 회사도 아이템 중심에서 공간 중심으로 한자리에서 모든 것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로 바꿨습니다.
소비자는 공사 단위별로 여기저기 발품 팔 필요없이 한 곳에서 모든 공사를 해결할 수 있게 편리해졌습니다.

현재 홈 리모델링 시장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 되고 있습니다.

저가시장 / 브랜드 시장 / 하이엔드 시장

큰 돈 지불하면서 인테리어 하기 싫은 분들은 동네 인테리어 매장,
안전한 공사를 원하는 고객은 브랜드 매장,
브랜드의 규격화된 제품보다는 독특한 디자인과 트렌디한 성향을 선호하는 분들은 디자인회사
디자인회사 같은 하이앤드 시장은 가격이 매우 높지만 잘하는 회사는 1년 스케줄이 다 찰 정도로 수요가 많습니다.

오늘은 국내 홈리모델 시장을 살펴 보았습니다. 인테리어는 공부해야 할 부분이 많은 분야이기에 앞으로 주기적으로 좋은 정보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